전체 글 240

[Android] Notifications - PendingIntent

#1 이전 글 [Android] Notifications - 기초#1 개요 알림 개요  |  Views  |  Android Developers이 페이지는 Cloud Translation API를 통해 번역되었습니다. 알림 개요 컬렉션을 사용해 정리하기 내 환경설정을 기준으로 콘텐츠를 저장하고 분류하세kenel.tistory.com위 게시글의 완성된 앱을 일부 수정해서, 알림 메시지 클릭 시의 동작을 구현해본다. #2 PendingIntent PendingIntent  |  Android Developers developer.android.com Intent는 안드로이드에서 컴포넌트(Activity, Service, BroadcastReceiver, ContentProvider) 간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..

[Android] Notifications - 기초

#1 개요 알림 개요  |  Views  |  Android Developers이 페이지는 Cloud Translation API를 통해 번역되었습니다. 알림 개요 컬렉션을 사용해 정리하기 내 환경설정을 기준으로 콘텐츠를 저장하고 분류하세요. 알림은 사용자에게 리마인더, 다른 사람과developer.android.com앱에게 있어 알림(Notifications)는 빼놓을 수 없는 구성 요소다. 알림을 기초적으로 구현해본다. #2 SDK, 권한, View 설정#2-1 최소 SDK 설정Minimum SDK를 API 기준 26 이상으로 설정한다. Notifications 대부분 기능의 최소 요구 API가 26이기 때문이다. #2-2 AndroidManifest.xml에서 알림 권한 설정 알림 발생..

[Android] Retrofit - Post

#1 이전 글 [Android] Retrofit - 기초#1 이전 글 [Android] Retrofit - 배경과 구조#1 Restrofit의 배경#1-1 REST API REST API (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)#1 무엇(What)에 대한 API인가?#1-1 개요REST(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) 또는kenel.tistory.com위 게시글의 완성된 앱을 일부 수정해서, 서버에 Post 요청을 해본다. (참조: REST API)#2 코드 수정#2-1 AlbumService.kt// package com.example.postimport retrofit2.Responseimpor..

[Android] Retrofit - Logging, Timeout 관리 (Interceptor)

#1 이전 글 [Android] Retrofit - 기초#1 이전 글 [Android] Retrofit - 배경과 구조#1 Restrofit의 배경#1-1 REST API REST API (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)#1 무엇(What)에 대한 API인가?#1-1 개요REST(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) 또는kenel.tistory.com위 게시글의 완성된 앱을 일부 수정해서, Retrofit Instance가 통신 기록(Log)을 남기게 만든다. 또, Retrofit Instance가 서버-클라이언트 간 통신을 성공 또는 실패(Timeout)로 판단하는 규칙을 바꿔본다. #2 Int..

[백준] 1764 (듣보잡)

#1 알고리즘#1-1 개요먼저, Input으로부터 '듣지 못한 사람'들을 읽어 들여 명단을 만든다. 그리고 '보지 못한 사람'들을 한 명씩 읽어 들이며, '듣지 못한 사람'의 명단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. 존재한다면, 해당 이름을 '듣지도 보지도 못한 사람' 명단에 추가한다. 마지막으로, '듣지도 보지도 못한 사람' 명단을 (사전 순으로) 정렬한다. #1-2 배열 대신 HashSet 사용 Hash table - WikipediaFrom Wikipedia, the free encyclopedia Associative array for storing key-value pairs Hash tableTypeUnordered associative arrayInvented1953Operation Average Wor..

[백준] 1541 (잃어버린 괄호)

#1 알고리즘#1-1 하향식 동적 프로그래밍 동적 프로그래밍 (Dynamic Programming), 상향식(Bottom-up) 및 하향식(Top-down) 접근#1 알고리즘 #1-1 정의 동적 프로그래밍을 한 줄 요약하면 중복의 제거다. 정적(static)이라는 개념과 반대되는 개념으로서, 동적(dynamic)이라는 단어가 이름에 붙었다. 확실히 static이 붙을 만한 작업kenel.tistory.com하향식 동적 프로그래밍을 구현해 풀었다. Caching을 위한 객체로 HashMap를 사용했다. 예를 들어, 1 + 2 + 3 - 4 + 5 - 6 + 7라는 수식을 Caching하기 위해 makeListToKey()라는 함수를 만들었다 (#2 참조). 수식 makeListToKey()에 넣으면 "+1..

[Android] Retrofit - MVVM 구조

#1 이전 글 [Android] Retrofit - 기초#1 이전 글 [Android] Retrofit - 배경과 구조#1 Restrofit의 배경#1-1 REST API REST API (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)#1 무엇(What)에 대한 API인가?#1-1 개요REST(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) 또는kenel.tistory.com이전 게시글에서는 userId를 하드 코딩했지만, 여기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userId를 요청하고 그에 응답할 수 있게 만들어본다. 하는 김에 MVVM적인 구조로 만든다.#2 MVVM 패턴 [Android] MVVM 구조 한눈에 보기#1 안드로이드 ..

[Android] Retrofit - 기초

#1 이전 글 [Android] Retrofit - 배경과 구조#1 Restrofit의 배경#1-1 REST API REST API (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)#1 무엇(What)에 대한 API인가?#1-1 개요REST(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) 또는 RESTful API는 서버의 자원(Resource)을 두고kenel.tistory.com이전 글에서 Retrofit의 배경과 구조를 살펴봤다. 이번엔 실제 Retrofit을 사용한 앱을 만들어본다. #2 통신할 서버 JSONPlaceholder - Free Fake REST API{JSON} Placeholder Free fake ..

[Android] Retrofit - 배경과 구조

#1 Restrofit의 배경#1-1 REST API REST API (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)#1 무엇(What)에 대한 API인가?#1-1 개요REST(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) 또는 RESTful API는 서버의 자원(Resource)을 두고,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 방법을 규정하는 API(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)다. 자kenel.tistory.com먼저, 클라이언트-서버 간 통신에서 사용되는 REST API에 대해 알아야 한다. #1-2 OkHttp Overview - OkHttpOkHttp HTTP is the way moder..

REST API (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)

#1 무엇(What)에 대한 API인가?#1-1 개요REST(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) 또는 RESTful API는 서버의 자원(Resource)을 두고,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 방법을 규정하는 API(Application Programming Interface)다. 자원이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다. 블로그를 예로 들면 게시글, 댓글 등이 자원이다. 이 자원은 서로 구분할 수 있는 고유한 식별자(URI)를 가지고 있다. REST API에서는 URI에 속하는 하위 범주인 URL을 자원의 식별자로서 사용한다. 그리고 이 URL이 바로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단어인 인터넷 주소다. #1-2 URL(Uniform Resource Locator)의 구조URL의 ..